로그인

회원가입 | ID/PW 찾기

취재

[게임산업 대토론회] 게임은 문화다? '아카이브' 되어야 비로소 문화

순천향대학교 한국문화콘텐츠학과 이정엽 교수 발표

에 유통된 기사입니다.
김재석(우티) 2020-02-18 16:42:21

▲ 순천향대학교 한국문화콘텐츠학과 이정엽 교수

 

18일 게임산업 대토론회에서 순천향대학교 한국문화콘텐츠학과 이정엽 교수가 '게임의 문화적 가치 보존을 위한 게임 아카이브'를 주제로 발표했다.

 

※ 게임산업 대토론회 관련 기사

 

◆ "게임물 아닌 게임" 문체부, 15년만에 게임산업법 전면 개정 나선다

◆ "게임은 대표 문화이자 미래 먹거리" ... 무엇이 한계인가?

◆ 양극화 심화된 게임시장 ..."중소업체에 '게임혁신펀드' 지원하자"

◆ 모바일도 좋지만 "콘솔, 아케이드로 활로 찾자"

◆ 게임은 문화다? '아카이브' 되어야 비로소 문화 (현재 기사)

  

미디어 믹스가 보편화된 환경에서 게임은 거대 비즈니스 사업으로 성장했다. '2019년 대한민국 게임백서'에 나타난 한국의 게임 이용률은 65.7%. 세 사람 중 한 사람이 게임을 즐기니 이를 문화라고 부르기에 손색이 없다는 것. 

 

하지만 이 교수는 "하지만 이면에는 확률형 아이템, 자동전투 등 모바일 게임이 낳은 BM에 대한 피로감도 존재한다"고 꼬집었다. 이어서 그는 게임이 진정 문화로 인정받기 위해선 게임의 아카이브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작년 한국에서 '게임은 문화입니다'라는 이름의 운동이 펼쳐졌지만, 1년에 50만 개의 게임이 출시되는데 언제 무슨 게임이 나오고 있는지 아무도 기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 '게임 아카이브'를 통해 오늘날 게임을 문화라고 부를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자는 것이 이 교수의 주장이다.

 

그가 주장하는 게임 아카이브란 게임을 기억하고, 수집하고, 보존하고, 전시하고, 전시하고, 교육하는 공간이다. 이 교수는 게임 아카이브로 게임 관련 학자들의 연구를 강화하고, 사용자의 게임 리터러시(Game Literacy, 게임 미디어 활용 능력)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이 교수는 게임에 대한 아카이브를 위한 노력을 있었는 지 물었다

 

한국의 게임 아카이브 사례로 제주의 넥슨 컴퓨터 박물관과 나주의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 도서관이 있다. 그렇지만 이 교수는 두 곳 모두 실제 업계인들이 찾기에는 접근성이 낮고 자료 검색 DB가 미진하거나 (넥슨 컴퓨터 박물관), 4세대 이전의 고전게임이 없다 (콘텐츠 도서관)는 등의 문제가 있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 교수는 미국의 국립게임박물관 '더 스트롱', 독일의 '컴퓨터 게임 박물관' 사례를 참고해 게임 연구와 공공적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는 이상적인 게임 아카이브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한편, 그는 "대토론회에서 공개된 게임법 개정안에서 게임진흥원이 게임의 수집과 보존, 활용 역할을 한다지만, 앞으로 구체적인 방법론이 나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불어 "영화는 법령을 통해 '영화 통합전산망', '공연예술 통합전산망'과 같은 데이터베이스(DB)의 구축을 명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게임도 각종 DB를 공개하는 방안도 모색해보자"고 제안했다. 단, 공공 DB의 경우 "게임사의 영업 기밀에 관련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독일, 핀란드 등 일부 국가는 게임 아카이브를 위한 법제화에 나섰다

최신목록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