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오브 탱크>는 게임에 도움이 되거나 게임화면을 꾸밀 수 있는 '모드'를 지원합니다. 크로스헤어, 탱크 피해 정보 패널, 전차 아이콘 등 자신의 취향대로 게임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드들이 있죠.
너무나 많은 모드가 있기 때문에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라면 모드 관리에 애를 먹기 마련입니다. 이런 고민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요. 바로 모드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모드 관리 프로그램 Generic Mod Enabler |
해외 프로그램인 Genric Mod Enabler(이하 GME)는 <월드 오브 탱크>의 모드들을 쉽게 관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초보 유저들도 설치부터 관리, 삭제를 편리하게 할 수 있죠. 또, 자신이 모은 설치하거나 모아둔 모드들을 다른 유저들과 쉽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GME의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우선 실행 파일을 <월드 오브 탱크>가 설치된 폴더(기본 C:\Games\World_ of_Tank_KR)에 넣고 실행하세요.
▲ <월드 오브 탱크> 설치 경로에 실행파일을 집어넣습니다.
처음 GME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관리할 모드들의 폴더 선택창이 나타납니다. 기본적으로 MODS 폴더를 선택한 후 OK 버튼을 클릭하면 MODS 폴더가 생성됩니다.
자, 이제 기본 세팅이 끝났으니 이제 GME에서 설치할 모드를 불러오는 방법을 알아봐야겠죠? 예시를 통해 모드 설치를 알아보겠습니다.
사용할 모드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MODS 폴더 안에 새 폴더를 생성한 뒤 폴더명을 모드의 이름으로 설정(폴더명이 GME 실행화면에서 나타나는 이름)한 뒤 설치할 모드의 파일을 복사합니다.
예를 들어 모드를 다운 받았는데 압축파일에 gui\flash 폴더 밖에 들어있지 않다면 모드명 폴더를 생성하고 그 안에 res_mods\0.8.4 폴더를 생성한 뒤 0.8.4 폴더 안에 gui\flash 폴더를 복사해야 합니다.
GME의 실행화면을 보면 자신이 복사한 모드의 폴더명이 Available Mods에 리스트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 버튼을 눌러 Activated Mods로 이동시키면 선택한 모드가 설치됩니다. 반대로 Activated Mods 리스트에 있는 모드를 선택해서 < 버튼을 눌러 이동시키면 모드가 삭제됩니다.
자신이 사용할 모드를 모두 설치했다면 Tasks -> Save Mod Profile을 클릭하면 현재 설정을 저장하세요. 차후 GME 설정이 꼬였을 때 Tasks -> Load Mod Profile을 클릭해 저장한 파일을 불러오면 설정값이 저장한 시점으로 돌아갑니다.
▲ 폴더명이 곧 리스트에 사용될 이름이다.
▲ 설치할 모드를 선택하고 > 버튼을 눌러 설치를 진행.
자신이 모으거나 설치한 모드를 남과 공유하거나 다른 PC에서 사용하려면 <월드 오브 탱크> 안에 있는 jsgme.exe 파일과 MODS 폴더를 다른 PC의 <월드 오브 탱크> 설치경로에 복사하고 jsgme.exe 파일을 실행하면 됩니다.
여기까지 GME의 사용법을 간단하게 알아봤습니다. 이제 GME를 사용해 자신만의 모드 모음을 만들어 관리를 편하게 하고, 다른 유저들과 공유도 해보세요!
PS. 만약 모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MOD 폴더 안에 있는 모드들이 모드명칭폴더\res_mods\0.8.4 폴더 안에 제대로 들어있는지를 확인해주세요.
디스이즈게임 추천 모드 모음팩 |
GME 설정이 어렵거나 귀찮은 유저분들을 위해 준비한 디스이즈게임 모드 모음팩입니다. 해외 유저들이 사용 중인 모드들 중에서 사용빈도가 높고 유용한 것들 위주로 모아봤습니다.
디스이즈게임 추천 모드팩 바로가기 |
위 GME 사용법에 나온 것처럼 jsgme.exe 파일과 MODS 폴더를 <월드 오브 탱크> 설치 경로에 복사한 뒤 jsgme.exe 파일을 실행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