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ID/PW 찾기

패키지 게임 시장은 왜 사라져야만 했을까?

/hon/tboard/?n=97259&board=36 주소복사

1990년도에 소프트웨어 산업의 붐이 일어났었던 때가 있었습니다.

 

게임도 소프트웨어의 일부이기에 수많은 게임회사들이 들어서게 되었고, 정부에서도 산업의 발전에 불을 붙이기 위해 병역특례라던가 물적자원 등을 많이 대주었죠. 투자자까지 증가해서 게임회사에 막대한 돈을 투자한다거나 하기도 했고, 소프트웨어 산업은 큰 성공을 거둘 것이라 예상되었습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산업은 돈이 그다지 되지 않는다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는데, 여기에 가장 큰 이유는 CD 라이터기와 초고속 인터넷망의 보급이 큰 요인이 되었다고 봅니다.

 

프로그래머들이 몇일 밤을 새며 피땀흘려 코딩한 프로그램들...

기획자들이 고생고생해서 만들어낸 시나리오들...

투자자들이 멋진 게임을 위해 투자한 투자금...

 

게임회사라는 곳에서 수 많은 사람들이 피땀보다 더한 고생을 하며 만들어낸 게임을 정품 유저가 친구에게 "이 게임 재미있으니까 한장 복사해줄께" 라며 라이터기로 한장 구워주면, 일파만파 퍼져서 게임회사는 복사되는 CD 장수에 따라 엄청난 타격을 입게 되었습니다. 돈을 벌지 못하게 되면 투자자도 손해를 보고, 투자를 하지 않게 되면 자연적으로 회사의 경영은 어려워집니다. 초기물량은 창고에서 빛도 보지 못한채 썩히게 되고 결국 회사가 조금의 수익이라도 내기 위해 주얼CD로도 판매해보지만 잘 팔리지도 않을 뿐더러 조금 더 많은 돈을 주고 게임을 구입한 정품 유저들은 이런 회사의 태도에 대부분 '패키지게임은 주얼CD가 나올때까지 안 산다' 등 실망을 하게 되고 가뜩이나 팔리지 않는데 신임을 잃게된 회사는 망하게까지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박스패키지의 잔량을 주얼로 파는 씁쓸한 이 심정... 이렇게 냈는데도 팔리지 않으니...)

 

 

해외든 우리나라든 라이터기나 통신망으로 인해 손해를 보지 않았다는 게임패키지 회사는 절대 없다고 볼 정도로 심각한 수준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이런 일을 막고자 회사에서 고생하여 락(lock)을 걸어서 출시하면 그것은 불과 며칠만에 아주 손쉽게 뚫리고 크랙까지 나와버려서 락을 걸어도 무용지물인 일이 벌어졌습니다.

 

하나의 보완책이 될 줄 알았던 락마저도 무너지자 회사에서는 CD키 인증 시스템까지 도입되었고 지금은 그 피해가 많지는 않지만 어느정도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CD키 인증 시스템이 도입될 무렵 이미 패키지시장은 초토화 분위기에 가까웠고 CD키 인증 시스템도 온라인 모드만 막을 수 있을 뿐 싱글 모드의 게임플레이는 막을 수 없었기에 온라인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게임의 경우에는 CD키가 있으나 마나 한 상황이었습니다.

 

싱글 플레이를 위한 CD키는 인터넷에서 무슨게임 CD키라고만 쳐도 주르륵 나와버리게 되니 가뜩이나 힘겨운 소프트웨어 시장에 초고속 인터넷 통신망은 꺼져가는 불씨에 찬물을 부은 격이 되어버리게 되었습니다.

 

초고속 인터넷 통신망의 발달로 생긴 P2P는 검색만하면 쏟아지는 게임 이미지들에 제작사들은 한숨만 턱턱 막혀오기도 했겠지요...

 

 

(마음만 먹으면 게임 CD키 쯤이야 구하는건 일도 아닌게 되어버린 현실...)

 

 

조금 된 이야기지만 엄청난 자유도를 자랑하는 GTA를 만든 락스타 같은 게임회사는 락스타가 정식발매하지 않은 나라는 복사를 써도 상관않겠다는 터프한 면모를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잘 나가는 회사가 아닌 이상 이렇게 나오기도 힘들지만 유저가 복사나 다운로드를 통한 플레이를 줄이고 한장이라도 정품을 구입했으면 하는 마음은 개발회사 전부가 원했던 소망이었을 것이고 지금도 그랬으면 하는 마음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패키지 시장이 죽어가고 있을쯤엔 NC소프트의 리니지라는 온라인게임으로 인해 무럭무럭 커나갔고 또한 넥슨도 바람의 나라로 힘입어 커가고 있던 회사였습니다... 더불어 이때 쯤에 패키지 게임계의 태양처럼 등장한 스타크래프트로 인해 피씨방 창업 열풍도 슬슬 불어오던 시기여서 패키지 게임을 내던 우리나라 게임회사들은 슬슬 타겟을 바꾸어 하나둘씩 온라인게임 산업쪽으로 발을 옮기게 되며 온라인게임쪽의 게임은 하나둘씩 늘어날때 패키지게임 시장은 하나둘씩 죽어가게 되고 시간이 흘러 결국 패키지 게임 시장은 망하게 되었습니다.

 

플레이스테이션2의 한국정식발매로 한국의 패키지시장 바람이 다시 회복되나 싶었지만 복사로 인한 파장은 너무나도 컸는지 결국 플레이스테이션2의 패키지시장도 게임영문화정식발매 - 게임한글화정식발매 - 매뉴얼한글정식발매 순으로 발매하게 되었습니다

 

(최근에 정식발매한 플레이스테이션2 게임 신귀무자)

(3까지는 게임의 자막까지 한글화 되었지만...)

 

한글화하면 이건 무슨일이 있어도 꼭 사겠다! 라는 글을 자주 보게 되지만 이런 말을 믿고 실질적으로 한글화 발매를 했던 회사는 오히려 적자를 면치 못하게 되고 결국 철수까지 한 회사도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S사...)

 

하지만 절망만이 남은 것은 아니었고 예전 플레이스테이션1 때는 10만원대가 넘는 씨디를 사야 하거나 복사가 당연하게 팔리던 시절과는 다르게 정품게임의 유통망을 만들어 놨기에 큰 일을 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런 우여곡절 끝에 패키지게임이 많이 사라졌지만 어렸을 적에 패키지게임 하나 선물받거나 사면 그 빵빵한 패키지의 내용물들과 좋아하는 게임을 샀다는 기쁨에 CD가 기스나서 못 읽을때까지 했던 때가 그리워지는건 왜 일까요...

 

(구입 후 이런 빵빵함이 좋았었죠...)

 

--------------------------------------

 

막상 멋지게 써보려고 했지만 실력부족을 엄청나게 느끼고 아직은 실력을 키워야 할 때라는 생각이 들게되네요... 내용 외에는 쓸떼없는 글이 많고 주저리주저리 뭔 소리인지 저도 모를 판국이라 부끄럽습니다...

 

제가 그 동안 게임을 하면서 보고 느끼고 한 것과 읽은 것들을 약소하게나마 정리하여 써본 것이기에 틀린 부분도 많을 것이라 사료됩니다...

 

끝까지 읽어주신분께는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잘못되거나 등등 어떤 질타라도 다 받겠습니다...

 

< 사진출처 : 루리웹 (패키지사진 : 어드벤스님), 네이버 , 조이파크 >

9 1
베스트 댓글
에러 BEST 11.12.19 10:39 삭제 공감5
[비밀글] 누구누구님께 삭제된 글입니다 블라인드된 게시물입니다 [내용 보기] 댓글을 로딩중이거나 로딩에 실패하였습니다.
댓글달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공감
- 현실에서의 현거래와 게임에서의 현거래의 관점차이 [이미지] [40] limous11-2820663
- 국내 게임시장에 다시한번 피바람이?! [이미지] [5] 니미로11-2857754
- 게임 현거래 금지에 대해서 [12] 좋고파이11-2420041
- ... MMORPG, Online-FPS. 그 다음은? [6] Zero-Device11-2420503
- 우리들은 북미의 개발자에 대해 잘못 알고 있을지도 모른다. [24] 리밍11-2126371
- 복구정책.. 그것을 알아보자. [6] 쪼꼬렛11-2117073
- 로컬러츠의 G-Star 후기 (3편 : 지포스 8800 , 라데온 1950XTX) [이미지] [2] 로컬러츠11-2078630
- 우리나라에서 내세울게 뭐가 있을까요? [10] 우파루파11-2022321
- 로컬러츠의 G-Star 관람기 (2편) [이미지] [2] 로컬러츠11-17137812
- 오토 프로그램이 대세다? [이미지] [7] 마법사II11-1642382
- 놀거리로써 온라인 오락, 매체로써 온라인 오락 [이미지] [9] 한날11-1629718
- PS3! 한국시장에서는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8] 유정군11-1558163
- 로컬러츠의 G-Star 관람기 (1편) [이미지] [4] 로컬러츠11-1563293
- G-star 이렇게 고치자! [16] blacksmith0111-1421813
- 요즘 뜨는 이야기... 걸스타 [12] 골드클립11-1425852
- G★STAR 2006 탐방기 [이미지] 라이산더11-1349780
- 지★스타 이런 것은 아쉽다. [이미지] 네오쏭이11-1313920
- 2006 지스타를 다녀와서 1부 [이미지] [2] 하치미츠11-1220292
- 디지털 시대에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6] enyheid11-1215321
- G★, 대한민국 게임영상 음악제를 다녀와서. [이미지] [3] mi:too11-1123171
- 2006 지스타를 가보고.. [이미지] [18] 기망11-1055362
- 슈퍼모델, 지포스 데모에 등장하다 [이미지] [6] 에메랄드빛 바람11-1097414
- 진짜 세계대전 겜? [11] 오리궁둥이11-0721684
- 한국의 놀이 성향 [31] (par)Terre11-06296010
- 명작게임의 과거와 현재 by 크라이프 [이미지] [12] 크라이프11-0599767
- 2006년 지스타★에서 필요한 것들 [이미지] [24] 기망11-0424953
- 다양성에 대한 질문들 [1] picture911-0314151
- 한국 온라인 게임의 문제점 [34] 피요11-0131811
- 베타겜에 가보고 놀랐습니다. [25] 강철의의지11-0153401
- 디아빠들은 현 온라인 업계에 어떤 문제점을 낳았는가? [이미지] [106] 스타빠킬러11-01130450
- 킬러의 자살 [10] picture911-0118250
- 스타크래프트 글을 보고서.... [7] 니미로11-0116780
- 한글화로 보는 우리네 컨텐츠 산업의 첨단이라는 게임 [293] 우파루파10-3182785
- 스타라는 보약을 과잉 복용한 한국. [이미지] [11] 기망10-3117821
- 스타랑 게임업계글 정리. [11] 이후10-3119433
- 스타크래프트가 게임 시장에 준 영향에 대한 고찰(스크롤 압박) [183] Lutes10-3126173
- 좋은 게임이 나오지 못하는 근본적 이유? [46] 꿈바라기10-3028995
- 패키지 게임 시장은 왜 사라져야만 했을까? [이미지] [337] 하치미츠10-3067978
- 요즘 구상중인 와우의 개선점 [6] 꿈바라기10-3021002
- 좋은 게임이란 어떤걸까요? [13] 작은광대10-3017532
- 정부와 메스컴은 왜 이런 사실을 은폐 왜곡하였을까? [이미지] [128] 스타빠킬러10-3037510
- 온라인게임에 교육적시스템은 불가능하는건인가? [6] 땡군10-2714951
- 내가 겪은 세 길드 이야기 [이미지] [9] 꿀벙이10-2729516
- [앙케] 롤플레잉 게임이란 말이지?? [20] 울씨10-2720703
- 던전앤파이터도 해킹..수만명 게임아이템 도난 [6] 키즈10-2719651
- 한글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다 [이미지] [22] 미르10-2635421
- 좀 더 깊게 생각 할 수는 없을까요? [3] Lilienthal10-2615153
- **대한민국 게임은 어떻게 발전하게 되었는가?** [54] 스타빠킬러10-26369611
- PC 게임은 결국 PC 부품산업의 희생양일뿐입니다. [32] 캔슬마왕10-2518763
- 관점의 차이가 사람을 말한다. [이미지] [19] 크발칸10-25240214
- 오늘날의 폭력게임, 이대로 괜찮을까? [이미지] [8] 니미로10-2554151
- 1998년부터 스타출시 이후 게임업계의 회상 [64] 스타빠킬러10-2560375
- 울티마 온라인 9주년 기념 패키지 질렀습니다! [이미지] [9] 강철의의지10-2433713
- 컴퓨터게임,한국온라인게임하는거 자체가 멍청한 짓이다. [30] 캔슬마왕10-2420930
- 던파 퍼스트서버.. 사건이 터졌네요. -_-;(한심..) [이미지] [8] nicekimssi10-2451791
- 온라인 게임에는 [회피]를 적용할 수 없습니까? [25] 껨보이10-2424113
- 외국에도 있다. 쌈마이 게임! (1편) [이미지] [11] 강철의의지10-2463233
- 스타에 대한 아주앙마의 생각. [78] 아주앙마10-2432422
- 스타빠, 이들은 게임계의 惡인가? [이미지] [261] 스타빠킬러10-238845-4
- 게임은 해롭다 [16] picture910-2220150
- R2에 조금 싫은소리... [이미지] [11] 강철의의지10-2136667
- 배틀필드2가 국내에서 실패한 이유 [이미지] [10] shiraz10-2062563
- 2WAR를 아시나요? [이미지] [4] 오리궁둥이10-2022722
- 필립스의 엔터테이블, 블루오션을 만들까? [이미지] [3] shiraz10-1933792
- 와우 확장에 대한 니미로의 기대 [5] 니미로10-1818780
- 와우 확장책 첫 느낌. [2] 울씨10-1719550
- 시트콤 속의 와우(WOW Meets South Park) [이미지] [9] onesound10-1541882
- 미니파이터 동영상 [5] 진정한게임10-1333700
- 와우 확장팩 기본정보 정리! [이미지] [4] 니미로10-1340232
- 와우 확장에 대한 아주앙마의 기대. [이미지] [10] 아주앙마10-1126932
- 와우 확장팩에 대한 기대 [5] 울씨10-1022311
- 한반도 긴장, 게임산업에 커다란 악영향 미칠 것 [이미지] [15] shiraz10-0933542
- 현재까지 알려진 워해머 온라인 정보 [이미지] [6] ALBION10-0758501
- 위 아바타 만들기 [이미지] [7] 진정한게임10-0539786
- 오랫동안 참아왔던 게임을 사는건! [이미지] [5] 니미로10-0520852
- 라이딩스타 클베모집!! [이미지] 오짱10-0417930
- 리겔님의 글을 보고 [9] 니미로10-0319232
- [고전게임이야기]-(1)hq팀의 '임진록'시리즈 [이미지] [15] 페르디안10-02333806
- MMO에 대한 착각 [72] 리겔10-0134397
- 개발자들이 벤치마킹을 선택한 이유. [이미지] [8] 네오쏭이09-3036233
- 바다이야기 불똥, 지스타에도? [이미지] [6] shiraz09-3031002
- 명작MMORPG가 되기 위한 조건 [27] kamuiboom09-2932741
- 심심풀이로 알아보는 워해머 판타지 세계관의 맵 크기 [이미지] [15] ALBION09-28228733
- 온라인 게임 이렇게 만들면 안되나??? --- 그냥 현업자의 답변. [15] 크리스타벨09-2832484
- 대박 게임아, 좀 나와다오! [이미지] [37] shiraz09-2760567
- [잡담] 온라인 게임 이렇게 만들면 안되나??? [24] 유령09-2733000
- 서든어택. 너무 높이 올라간 왕자인가? [28] 로컬러츠09-2551963
- 게임과 음반시장의 소비자와 제작자의 공통점. [이미지] [12] 붉은새벽09-2420534
- 한국식 MMORPG + PK = 토사구팽(兎死狗烹) [이미지] [11] shiraz09-2346623
- [잡상] 게임 순위표를 보며... [이미지] [9] 니미로09-2323131
- 게임 인터페이스의 미학 [이미지] [15] 꿀벙이09-2168959
- 실시간 전략시뮬레이션 게임의 게임성 구축에 관한 소고 [2] 반물질호빵09-1722001
- 게임 엔진의 단상 [이미지] [7] 조나단09-1643823
- 3D게임 팬을 위한 「발키리 프로파일 2」그래픽스 강좌! 아틀리에09-1620570
- 가람해무의 게임론. I.R.C.와 R.O.O. [이미지] [4] 가람해무09-1629293
- 워록은 넥슨의 피해자? [20] 하늘새09-1453503
- 게임 속 사대주의 [13] 네오쏭이09-1318242
- 알다가도 모를 2006년의 게임시장. [4] 로컬러츠09-1335601
- WOW를 따라잡을 자 누구인가? [이미지] [15] 브리틀가드09-1327933
- 여러분이 가장 좋아하는 게임음악은? [이미지] [19] ALBION09-1023823
최신목록 101 | 102 | 103 | 104 | 105 | 106